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취업준비라는 인고의 시간을 버티고 취직을 하면, 직장에서는 바로 4대보험을 들게 됩니다.
4대보험은 자신이 받을 급여에서 미리 제하기 때문에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알아야 나머지 금액으로 계획을 세울 수가 있는데요. 4대보험 모의계산 해서 바로 알아볼 수 있답니다.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에서 4대보험 모의계산 해볼 수 있습니다.
위 사진으 정보연계센터의 메인페이지인데, 여기서 상단의 '자료실'을 클릭하세요.
화면이 바뀌고 나면 우측의 세로로 된 메뉴에서
'보험료 모의계산' 메뉴로 들어갑니다.
따로 조그맣게 창이 하나 열리면서 계산기가 나타납니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 그리고 산재보험까지 한 번에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월 급여를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누르면 알아서 계산을 해준답니다.
밑에 보면 총액은 기준소득월액의 9%라고 하네요.
또한 월 28만원 미만으로 벌어도 28만원을 기준으로,
월 434만원보다 더 벌어도 434만원을 기준으로 한다고 합니다.
4대보험 모의계산 직접 한 번 해보겠습니다.
월급이 2,500,000원이라고 했을 때, 국민연금의 연금보험료는
225,000원입니다. 이 금액의 절반은 사업주가 부담하는 것이군요.
이번엔 건강보험을 한 번 계산해볼까요? 마찬가지로 월급여는 위와 같을 때
건강보험료는 153,000원, 장기요양보험료는 10,020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고용보험의 경우 같은 조건일 때 38,750원이 나오는군요.
이렇게 미리 계산을 해놓으면 자신이 받을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알 수 있어서
좀 더 정확하게 소비 계획을 세울 수 있답니다.
지금까지 4대보험 모의계산 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생활 속의 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가점계산기 내 점수는 얼마? (0) | 2016.08.15 |
---|---|
무료동요듣기 최신 만화 주제가까지 들어보자 (0) | 2016.08.15 |
레쿠바 사용법 파일 복원하기 (0) | 2016.08.13 |
여권만료일 조회 여권 없이 하는 방법 (0) | 2016.08.12 |
아이핀 만드는법 어렵지 않아요 (0) | 2016.08.11 |